세상살이는 처음이라/식탁의 지평

농심: 신라면 투움바 바리에이션

유영하는 바다젤리 2024. 11. 2. 05:13

맛평가는 여기로.

https://jellyfish-travel.tistory.com/52

 

농심: 신라면 투움바(신라면 툼바)

별점(5점만점): ★ ★ ★ ★ ☆가격: (2024년 11월 02일 기준 홈플러스 페이지 내부 검색 시 4580원 (2개 이상 구매 시 10% 할인))맛: 라면으로 크림파스타 맛을 굉장히 잘 살렸다. (까르보불닭 대비 덜

jellyfish-travel.tistory.com

.

.

,

 

.

.

.

 

신라면 투움바!

신라면 투움바
신라면 툼바

9월 23일에 출시된 (나름) 신상!

https://www.nongshim.com/promotion/notice/press_view?groupCode=003&groupId=767&searchValue=%EC%84%A4%EB%B9%84

 

농심 : 인생을 맛있게 (Lovely Life Lovely Food)

 

www.nongshim.com

 

  그냥 끓여먹었을 때도 꽤 맛있었지만 (후기는 최상단에 링크 걸었습니다.) 더 맛있게 먹고자!

라면
조개파스타?

 

우유에 끓여서 양파, 마늘, 땡초(청양고추), 새우, 백합조개, 슬라이스치즈까지 넣어

파스타를 해먹기도 하고.

 

라면
스테이크?

 

기본 조리법에 소고기와 땡초, 양상추를 얹어 고급 양식집 스테이크 느낌도 내보았습니다.

 

라면
오뚜기와 농심의 만남

 

그리고 급기야는 오뚜기와 농심의 자식을 결합시키고야 만 것입니다.

 

라면
혼종

 

어디서나 제 색을 당당히 뽐내는 짜장의 검은빛과

어디서나 그 풍미를 잃지 않는 크림의 고소함이 한몸에!

 

역시 뭐든지 믹스가 순혈보다 유전형질이 생존에 유리하단 말입니다.

 

그리고 그 위대한 결합과 탄생의 현장을 영상으로 담았습니다.

위대한 탄생

1. (냉동)새우 2마리와 함께 물을 끓입니다.

2. 면을 끓이는데, 짜슐랭 면을 먼저 넣습니다.

(짜슐랭은 5분, 투움바는 3분이기도 하고 딱 꺼내보면 짜슐랭 면이 더 굵음)

3. 면은 반쯤 익혀서 찬물에 식혀두고, 면수를 조금 남겨둡니다.

4. 기름에 파, 고춧가루, 양파, 버섯, 땡초를 넣고 잘 볶습니다. (파랑 고추기름낸건데 양파까진 있으면 좋겠고 나머진 선택. 근데 전 땡초 3개 넣었는데 좀 느끼한 감이 있어서 땡초를 좀 더 넣는 걸 추천합니다. 마늘이 없어서 안 넣었는데 한국인이니까 마늘도 있으면 넣어줍시다.)

5. 익혀둔 면을 넣고 분말스프들을 투하합니다. 면수를 조금 첨가하여 잘 녹도록 합니다.

6. 신라면 투움바의 액상스프를 투하합니다. 면수를 조금 더 참가합니다.

7. 불을 끄고 짜슐랭 오일소스를 넣습니다.

8. 새우가 다 익은 것을 확인하면 완성입니다.

 

#맛평가

별점(5점만점): ★ ★ ★  ☆

맛: 맛있는데 좀 느끼해요. 

한줄평: 뭐 한번쯤 해먹을만함.

 

#혹시 다음에 또 해먹는다면? (개선사항)

1. 마늘을 넣자.

2. 투움바에 조개가 정말 잘 어울린다. 조개를 넣자.

3. 기름을 내지 않거나, 기름은 아주 약간만 향을 내서 따로 빼두고 나중에 볶자. (너무 기름진 느낌)

4. 투움바 끓일 때 가장 맛있었던 건 우유 넣고 끓인거였다. 우유를 넣고 끓이자.

5. 혹시 향낸 기름을 넣고 싶거든 짜슐랭 분말스프는 미리 기름에 같이 볶아보자. 

(5의 경우 더 맛이 없어질지도 모름. 조리법에서 '불을 끄고' 스프를 넣으라고 되어 있는데, 풍미를 내는 성분들이 휘발성이 강해서 강조해둔 것일 수 있음.)

 

#잡설

짜슐랭 나트륨 함량이 1,100mg, 투움바 나트륨 함량이 1,390mg.

이미 권장량 2,000mg을 한참 넘겨, 오늘도 식약처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에 따르지 않는 응석받이 국민이 되었습니다.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335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ealth.kdca.go.kr